본문 바로가기
도구

파이썬을 배워보자[변수]

by fun learner 2024. 6. 12.
반응형
 

경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계 자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국가기관이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긴 하지만, 간혹 엑셀 같은 스프레드시트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도 부족하다고 생각된다면 프로그램 언어는 직접 배워서 해보는 것도 시도해 볼만합니다. 그럼 데이터 사이언스에 많이 사용되는 파이썬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한 내용을 저장해야 되는데...

 

아직 준비가 안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가셔서 아나콘다 설치하고 오세요.

 

 

파이썬을 배워보자[설치]

경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계 자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국가기관이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긴 하지만, 간혹 엑셀 같은 스프레드시트로 제공되는 데

stock.slowly81.com

 

jupyter notebook에서 사칙 연산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죠.

프로그래밍 지식이 하나도 없다고 가정하고

1부터 4까지 더해 볼까요?

 

1+2를 계산하고 결과에 3을 더하고 그 결과에 4를 더했습니다.

한 줄 넣고 실행버튼을 누르거나, [shift]+[Enter] 키를 누르면 실행되고 다음 입력창이 생깁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매우 농업적 근면성이 엿보이네요.

지금은 1에서 4까지 만 더했지만 수천, 수만까지 더하기에는 이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한번 계산한 결과를 어딘가에 저장해 놓고 그걸 가져다 쓰면 좀 나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보통 수학에서 쓰이는 표현 방법을 사용해 봅니다.

계산 결과를 'a'에 넣습니다.

a = 1 + 2 이런 식으로요.

 

마지막 줄에 a 만 입력하고 실행한 건 a에 들어있는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앞에 했던 것보다는 조금 있어 보입니다.

 

수학에서도 변하는 값을 변수라고 하고 x, y 등의 기호로 표시하는데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로 어떤 변하는 값을 지정하는 것을 변수라고 합니다.

 

앞에서는 a 가 변수가 되고 한 줄씩 실행하면 값이 변경되고 변경된 값이 보존됩니다.

 

 

숫자 아닌 것도 저장되나?

 

뭐 해보면 되죠.

변수이름 = 숫자 아닌 거

쭉 입력해 보겠습니다.

변수 간에 더하기를 했더니 문자열이 합쳐졌네요.

 

다른 언어를 배울 때와는 달리 변수 타입 이런 거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니 편하긴 하군요.

 

 

마치며

 

변수에 대해 간단한 예제로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프로그래밍 공부할 때 변수 타입, 입력 허용 범위, 상호 호환 가능여부 등 

배울게 많긴 하지만 그런 건 일단 해보고 막힐 때 하나씩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예제가 너무 단순해서 AI 가 등장할 틈이 없었군요.

 


참고자료...

 

 

파이썬을 배워보자[설치]

경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계 자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국가기관이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긴 하지만, 간혹 엑셀 같은 스프레드시트로 제공되는 데

stock.slowly81.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