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양한 통계 자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국가기관이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긴 하지만, 간혹 엑셀 같은 스프레드시트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도 부족하다고 생각된다면 프로그램 언어는 직접 배워서 해보는 것도 시도해 볼만합니다. 그럼 데이터 사이언스에 많이 사용되는 파이썬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럴땐 이렇게 저럴땐 저렇게
아직 준비가 안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가셔서 아나콘다 설치하고 오세요.
앞서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를 배우면서 이미 조건문을 사용했습니다.
한 가지 조건을 비교하는 건 비교적 쉽지만
여러 조건이 존재한다면 약간 조금 생각이 필요합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손님들이 사려는 물건을 바코드 찍어서 계산만 하면 될까요?
어떤 물건들은 구매에 제한이 있습니다.
주류. 담배 등을 미성년자에게 판매하면 안 되겠죠.
물건 1 : goods1 = '라면'
물건 2 : goods2 = '생수'
물건 3 : goods3 = '맥주'
신분증 : id
구현 : 구입하려는 상품중 맥주가 포함되면 신분증을 요청하고
신분증이 없으면 판매하지 않는다.
if goods1 == '맥주' or goods2 == '맥주' or goods2 == '맥주' :
print('신분증을 보여주세요')
if id :
print('신분증 확인 했습니다. 계산해 드리겠습니다.')
else :
print('신분증 가져오셔야 주류 구입이 가능합니다. 주류는 빼고 계산해 드릴게요)
else :
print('계산해 드리겠습니다.')
id = True
id = False
if 문은 조건문 안에 다시 조건문을 중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양한 조건문들을 표현할 수 있겠네요.
조건이 많다면
비교할 조건이 많지만 하나의 명제에 대해서 여러 번 비교하는 경우라면
if문을 중첩하지 않고 조건을 이어나가면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말정산할 때 소득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를 과세표준 구간이라고 하는데 '23년 연말정산 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1,400 만원 이하 | 6% | 0원 |
1,400 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 15% | 126만원 |
5,000 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24% | 576만원 |
8,800 만원 초과 ~ 1억 5,000 만원 이하 | 35% | 1,544만원 |
1역 5000 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38% | 1,994만원 |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 40% | 2,595만원 |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 42% | 3,594만원 |
10억원 초과 | 45% | 6,594만원 |
연말정산을 위해 열심히 계산한 종합소득 과제표준금액이 2억 일 때 산출세액을 구해보겠습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금액 : income = 200000000
산출세액 : tax = 종합소득 과세표준 금액 * 세율 - 누진공제액
구현
if income <= 14000000 :
tax = income * 0.06
print( '산출세액은 %.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1400000 and income <= 5000000 :
tax = income * 0.15 - 126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5000000 and income <= 8800000 :
tax = income * 0.24 - 576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8800000 and income <= 15000000 :
tax = income * 0.35 - 1544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15000000 and income <= 30000000 :
tax = income * 0.38 - 1994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30000000 and income <= 50000000 :
tax = income * 0.38 - 1994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50000000 and income <= 100000000 :
tax = income * 0.42 - 3594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elif income > 100000000 :
tax = income * 0.45- 65940000
print( '산출세액은 %.f 원 입니다.' %tax )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뺀 금액만큼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내거나, 돌려받게 되죠.
elif 를 통해 조건을 계속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제에서는 없었는데 어느 조건에도 해당되지 않으면
else :
문 아래에 내용을 적어 주면 됩니다.
마치며
세금을 출력할 때 print 문에 처음 보는 부분이 있었는데요.
문자열 부분에 %숫자.숫자f 라고 적고 문자열의 뒤에 %변수라고 하게 되면
변수를 특정 포맷에 맞게 문자열에 포함하라는 의미입니다.
a = 12.34556 이라는 숫자를
정수 두 자리, 소수점 두 자리로 출력하려면 아래처럼 구문을 작성하면 되겠죠.
print('a는 %2.2f 입니다.' %a)
12.345에서 반올림되어 12.35가 출력되었군요.
출력문 나올 때마다 다양한 형태의 출력 예시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을 배워보자[반복문] (0) | 2024.06.18 |
---|---|
파이썬을 배워보자[케이스문] (0) | 2024.06.17 |
파이썬을 배워보자[논리연산자] (0) | 2024.06.15 |
파이썬을 배워보자[비교연산자] (0) | 2024.06.14 |
파이썬을 배워보자[산술연산] (0) | 2024.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