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물가를 측정하는 3가지 지표 물가지표 3가지는? 물가지표는 경제 활동과 가격 변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정책 결정과 투자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럼 어떤 지표들이 있고 차이는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CPI) 소비자 물가지수는 가정의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고 경제 정책, 노동 계약, 소득 정책, 투자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CPI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 재화와 서비스 선정: 일정 기간 동안 소비되는 재화와 서비스를 대표할 수 있는 품목을 선정합니다. - 가중치 결정: 각 품목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일반 가계의 소비 비중에 따라 계산합니다. - 가격 정보 수집: 선정된 품목의 가격 정보를 수집합.. 2024. 2. 17.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의 차이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의 차이는? 경제 관련 컨텐츠를 보다 보면 퍼센트라고 할 때도 있고 퍼센트 포인트라고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럼 이 둘이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퍼센트(%) 퍼센트는 백분율의 단위를 말합니다. 보통 %로 표기됩니다. 전체의 수량을 100으로 하여, 해당 수량이 그 중 몇이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비해 올해 안경을 착용한 학생의 비율이 10%에서 8%로 감소했다면, "안경 착용률이 20% 감소했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퍼센트 포인트(%p) 퍼센트 포인트는 퍼센트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로 표기되며, 이미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의 변동을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비해 올해 실업률이 3.. 2024. 2. 15. 지렛대를 이용한 투자 레버리지란? 지렛대를 이용해 적은 힘을 증폭시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는걸 레버리지라고 합니다. 문을 열 때 사용하는 문고리,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등 일상생활 속에서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원리는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금융 분야에서도 사용됩니다. 작은 힘을 증폭시켜 준다는 레버리지의 장점만 있는 것 같지 단점도 만만지 않다고 합니다. 그럼 투자에서의 레버리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신용매수 (Margin Trading) 자신이 보유한 투자자금을 담보로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레버리지 비율은 증권사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0:1~300:1까지 가능합니다. 장점: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음(확률 싸움...) 단점: 손실도 그만큼 커질 수 있으며, 주의가 .. 2024. 2. 14.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캐즘 chasm] 캐즘 (Chasm)이란 ? 지질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로, 지층이 이동하면서 생긴 골이 깊고 넓어 건너기 힘든 커다란 단절을 의미합니다. 상이한 지층 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땅이 찢겨 나가면서 깊고 넓은 틈이 생기게 되는데, 갈라진 양쪽은 전혀 다른 지층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용어가 경제에도 사용되는 데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용어로써 캐즘 캐즘이란 경제 용어로써는 제품이 아무리 훌륭해도 얼리어답터에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까지 넘어야 하는 침체기를 가리킵니다. 캐즘 이론은 첨단 기술 수용론이라고도 표현됩니다. 제품을 출시한 초기에는 혁신성을 중시하는 소수의 소비자가 생기지만 이후에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주류 시장으로 옮아가야 하는데, 초기 시장과 주류 시장.. 2024. 2. 13. 이전 1 ···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