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물가를 측정하는 3가지 지표

by fun learner 2024. 2. 17.
반응형

 

물가지표 3가지는?

 

물가지표는 경제 활동과 가격 변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정책 결정과 투자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럼 어떤 지표들이 있고 차이는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물가를 측정하는 3가지 지표
Created by lexica.art

소비자 물가지수 (CPI)

 

소비자 물가지수는 가정의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고 경제 정책, 노동 계약, 소득 정책, 투자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CPI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 재화와 서비스 선정: 일정 기간 동안 소비되는 재화와 서비스를 대표할 수 있는 품목을 선정합니다.

 

- 가중치 결정: 각 품목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일반 가계의 소비 비중에 따라 계산합니다.

 

- 가격 정보 수집: 선정된 품목의 가격 정보를 수집합니다.

 

- 가중 평균 가격 계산: 각 품목의 가격을 해당 가중치와 곱한 후, 전체 가중치로 나누어 가중 평균 가격을 계산합니다.

 

- 기준연도 대비 가격지수 계산: 가중 평균 가격을 기준연도의 가격지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기준연도 대비 가격지수를 계산합니다.

 

 

 

생산자 물가지수 (PPI)

 

생산자 물가지수는 생산자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PI는 도매 수준에서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며, 상품 생산 초기 단계에서 가격 변동을 파악합니다.

 

즉, PPI는 소비재를 생산하는 비용을 측정하고, 도매가격의 변화를 선행적으로 파악합니다.

 

 

소비자 신뢰 / 심리 지수 (CSI / CCI)

 

소비자 신뢰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소비자들의 소비 의사 결정과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경기 전망과 소비자들의 민감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자신감과 소비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합니다.

 

 

마치며

 

경제 뉴스를 볼때 많이 나오는 물가지표 용어들에 대해 간략히 알아봤습니다.

 

지표만 볼때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이 지표들이 주식시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즉 경제가 불황일때는 물가지표가 상승하면 경제 회복 신호로 보고 주가가 상승하겠지만

 

경제가 활황일때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어 금리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어 주가가 하락합니다.

 

그리고 경제가 변곡점(불황 ▶ 호황 또는 호황 ▶ 불황) 일때는 이러한 논리가 역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물가지표를 통한 주식시장 예측 시 주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참고자료...

 

 

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지수 - CME Group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검토하여, 트레이더가 왜 인플레이션과 금리의 향방에 대한 단서를 거기에서 찾으려고 이들을 주목하는지를 알아 보십시오.

www.cmegroup.com

 

 

대한민국 - 소비자 신뢰지수 | 1998-2024 데이터 | 2025-2026 예상

 

ko.tradingeconomics.com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킨 게임의 사례 3가지  (0) 2024.02.19
주식 프로그램 매매 2가지  (0) 2024.02.18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의 차이  (0) 2024.02.15
지렛대를 이용한 투자  (0) 2024.02.14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캐즘 chasm]  (0) 2024.0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