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br2 숫자보고 투자하자[지수 PER/PBR]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하는 지표로 PER, PBR이 있습니다. PER은 주가가 한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PBR은 주가가 한 주당 순자산 가치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면 개별 주식이 아닌 지수에도 PER, PBR 이 계산될까요? 이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이 있으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에 가면 다양한 데이터들이 있고 지수에 대한 PER, PBR 도 제공 합니다.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data.krx.c.. 2024. 5. 21.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수익비율(PER)이란? 이 지표는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나타냅니다. 즉, 주가와 기업의 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하지만 숫자만 봐서는 그래서 뭐 어떤 의미가 있는 건데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럼 사례를 통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사전 적인 설명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런데 주당 순이익을 구하려면 순이익을 다시 총 주식수로 나눠야 해서,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눠도 동일합니다. PER = (주가)/(주당 순이익) = (주가)/(순이익/총주식수량) = (주가)X(총주식수량)/(순이익) = (시가총액)/(순이익) 마진이 높은 산업은 순이익이 높으니 상대적으로 PER 이 낮겠네요. 주식이 상승세에 있는 종목은 시가총액이 높을 테니 PER 이 높겠네.. 2024. 3.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