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수익비율,PER]

by fun learner 2024. 3. 4.
반응형

 

주가수익비율(PER)이란?

 

이 지표는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나타냅니다. 즉, 주가와 기업의 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하지만 숫자만 봐서는 그래서 뭐 어떤 의미가 있는 건데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럼 사례를 통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숫자보고 투자하자
Created by lexica.art

 

사전 적인 설명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런데 주당 순이익을 구하려면 순이익을 다시 총 주식수로 나눠야 해서,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눠도 동일합니다.

 

PER = (주가)/(주당 순이익) = (주가)/(순이익/총주식수량) = (주가)X(총주식수량)/(순이익) = (시가총액)/(순이익)

 

마진이 높은 산업은 순이익이 높으니 상대적으로 PER 이 낮겠네요.

 

주식이 상승세에 있는 종목은 시가총액이 높을 테니 PER 이 높겠네요.

 

투자하는 입장이라면 일단 제품/서비스로 많이 남기고,

 

주가는 고요한 호수처럼 바닥에 붙어 있어 향후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 주식이 좋겠네요.

 

이런 주식은 PER 이 상대적으로 낮을 겁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PER이 10 보다 작으면 저평가 되었다고 합니다.

 

 

사례를 보자

 

그런데 무의식 적으로 PER 10 보다 작으면 저평가된 주식!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하고 지표를 보면 혼란스러워집니다.

 

포털 증권 화면에서 삼성전자를 조회해 봤습니다.

 

출처 : N Pay 증권

 

삼성전자 PER 34.45 !!! , 이건 10 보다 많이 크니 엄청난 고평가야~~???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지금 있을까요?

 

(지금은 AI 테마로 반도체 관련 주식들이 잘 가는 분위기인데 삼성 전자는 잘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뭔가 이상하니 지표의 정의를 다시 살펴 봐야 되겠습니다.

 

PER = (시가총액)/(순이익)

 

찬찬히 보니 시가총액이 늘었던지, 순이익이 줄었겠네요.

 

(시가총액) = (주가)X(주식수) 이니

 

최근 주식수도 안늘었고 주가도 횡보 중이니 시가총액이 유의미하게 변했다고 보기는 힘들겠군요.

 

그래서 순이익을 찾아보니... 순이익이 높은 PER 을 만드는 원인이었네요

 

출처 : N Pay 증권

 

 

 

 

마치며

 

숫자를 통한 간단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단순히 PER 이 10보다 작으면 저평가 주임! 하는 적용보다는

 

시가총액, 순이익의 흐름을 간단하게 보면 현재 PER 숫자의 의미가 좀 더 선명해질 것 같습니다.

 

즉, 반도체(특히 메모리) 경기가 살아나면서 순이익이 회복될지 지켜보고 판단하면 좋겠네요.

 

 


참고자료...

 

 

 

차트 보고 투자 하자[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와 거래량 등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식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증권시장에서 가격의 움직임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그 패턴을 찾아

stock.slowly81.com

 

 

숫자 보고 투자 하자[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이란? 우리말로 기본적이라는 단어가 좀 애매한데 영어로는 Fundamental입니다. 즉 회사의 기초 체력의 상태가 어떤지 파악해 보는 분석입니다. 재무 상태와 내재 가치가 어떠한지 확인

stock.slowly81.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