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캐즘 chasm]

by fun learner 2024. 2. 13.
반응형

 

캐즘 (Chasm)이란 ?

 

지질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로, 지층이 이동하면서 생긴 골이 깊고 넓어 건너기 힘든 커다란 단절을 의미합니다. 상이한 지층 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땅이 찢겨 나가면서 깊고 넓은 틈이 생기게 되는데, 갈라진 양쪽은 전혀 다른 지층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용어가 경제에도 사용되는 데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깊은 골짜기를 넘어서(캐즘 chasm)
Created by lexica.art

 

경제 용어로써 캐즘

 

캐즘이란 경제 용어로써는 제품이 아무리 훌륭해도 얼리어답터에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까지 넘어야 하는 침체기를 가리킵니다.

 

캐즘 이론은 첨단 기술 수용론이라고도 표현됩니다.

 

제품을 출시한 초기에는 혁신성을 중시하는 소수의 소비자가 생기지만

 

이후에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주류 시장으로 옮아가야 하는데,

 

초기 시장과 주류 시장 사이에서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정체 현상을 겪게 됩니다.

 

 

캐즘이론에 따르면,

 

소비자혁신자, 선각 수용자, 전기 다수, 후기 다수, 지각 수용자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일단 첨단 제품이 출시되면 혁신자와 선각 수용자는 신기술에 대한 호기심,

 

기업에 대한 충성심 등으로 이 제품을 구입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기 다수 및 후기 다수 계층은 실용적인 면을 중시하여 실용적인 면이 증명된 후에야 구매하기 시작하고,

 

기업 측에서 볼 때에는 이 두 계층의 구매가 일어날 때 비로소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이들이야말로 실질적인 구매층으로, 전체 구매의 3분의 2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지각 수용자는 마케팅 효과와 관계없는 계층으로 시장이 성숙되면 받아들이는 계층입니다.

 

 

 

 

캐즘 극복 사례

 

아마존(amazon)은 세계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큰 전자상거래 플랫폼입니다.

 

아마존은 초기에는 인터넷 서점으로 시작했지만,

 

이후에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변화하면서 캐즘 현상을 극복했습니다.

 

특히 해외 시장을 타깃으로 한 경쟁력 있는 가격 및 현지화, 그리고 입점 브랜드의 질을 유지하는 전략을 사용하였습니다.

 

 

애플 (Apple)은 혁신적인 제품과 생태계 구축으로 캐즘을 뛰어넘었습니다.

 

스티브 잡스가 CEO로 복귀한 이후 아이팟과 아이폰의 연이은 성공,

 

그리고 아이패드의 성공적 출시까지 애플은 시장 창조의 성공 신화를 계속해서 써내려 갔고

 

경쟁사는 애플이 만들어낸 생태계를 벤치마킹하였습니다.

 

 

마치며

 

전기차 생산 기업들은 전기차 점유율을 올리고, 충전소 등 생태계 구축으로 캐즘을 넘으려 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약 200만 대로 2% 수준이었고, 2023년 10%로 상승했습니다.

 

아직은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고,

 

향후 얼마가 걸릴지는 알 수 없으나 전기차도 캐즘을 극복하고 내연기관을 대체하는 날을 기대해 봅니다. 

 

 

 


참고자료...

 

캐즘과 기술수용 주기 6단계

캐즘이란 무엇일까요? 기술을 중요시 하는 서비스들이 꼭 알아야할 캐즘에 대해 알아볼게요.

channel.io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2023년, 2035년, 2040년) - 골드만삭스 리포트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2023년, 2035년, 2040년) - 골드만삭스 리포트 안녕하세요. 경제/시사 이야기와 ...

blog.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