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 스키너는 어떤 행동의 결과에 의해 자신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는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는 동물(예: 쥐와 비둘기)이 특정 행동(예: 레버누르기)을 통해 보상(예: 음식)을 받거나 처벌(예: 약한 전기 충격)을 피하는 방법을 배우는 실험 장치였습니다. 이 이론은 강화(긍정적 및 부정적)와 처벌이 어떤 행동을 만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투자에서 부정적 강화와 처벌 이해하기
투자에서 손실은 부정적 강화와 처벌을 통해
투자자 행동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긍정적 강화가 수익성 있는 행동을 장려하는 반면,
부정적 강화와 처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부정적 강화
투자자가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행동을 취할 때 발생하며,
그 행동을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추가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하락하는 주식을 매도하는 것은
부정적 강화로 작용하여 부실 자산을 빠르게 매도하는 행동을 강화합니다.
2. 처벌
특정 행동의 결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여
그 행동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투자에서 이는 잘못된 투자 결정으로 인한 재정적 손실로,
유사한 결정을 피하도록 합니다.
손실의 심리적 영향
손실은 투자자에게 깊은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종종 판단과 의사 결정을 흐리게 하는 감정적 반응을 유발합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심리적 영향을 다음과 같습니다.
1. 손실 회피
투자자는 이익의 기쁨보다 손실의 고통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과도하게 보수적인 행동으로 이어져,
잠재적인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게 만듭니다.
2. 두려움과 불안
손실을 경험하면 두려움과 불안이 유발되어 시장 하락 시
패닉 셀링과 같은 충동적인 결정을 내릴게 될 수 있습니다.
3. 후회와 과잉 반응
투자자는 과거 손실에 대한 후회를 느끼며,
빠르게 손실을 만회하려는 과잉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추가적인 잘못된 결정으로 이어집니다.
부정적 강화의 영향을 완화하는 전략
손실의 심리적 영향을 관리하고 부정적 강화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
투자자는 여러 가지 전력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1. 명확한 투자 목표 설정
명확하고 장기적인 투자 목표를 설정하면
단기 손실에 기반한 충동적인 결정을 피하고
집중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투자 다각화
다각화는 포트폴리오 전체에 걸쳐 개별 손실의 영향을 줄여
부정적 강화의 심리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위험 관리 계획
손절매 주문 및 포지션 크기 조정과 같은 위험 관리 계획을 구현하면
잠재적 손실을 관리하고 감정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 부정적 강화와 처벌의 사례
부정적 강화와 처벌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사레를 살펴보겠습니다.
1. 2008년 금융 위기
2008년 금융 위기 동안 많은 투자자들이 상당한 손실을 경험하여
광범위한 두려움과 패닉 셀링이 발생했습니다.
추가 손실을 피하기 위한 부정적 강화는
많은 투자자가 시장 최저점에서 이탈하게 만들었으며,
이후 회복을 놓치게 했습니다.
2. 닷컴 버블 붕괴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상당한 손실을 겪은 투자자들은
기술 주식에 대한 투자를 오랫동안 주저하게 되었습니다.
재정적 손실의 처벌은 기술 부문에 대한
장기적인 위험 회피로 이어졌습니다.
3. 개별 주식 실패
엔론이나 리먼 브라더스와 같은 개별 주식에서
큰 손실을 경험한 투자자는 유사한 투자에 대해
더 신중하고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며,
이는 처벌의 장기적인 영향을 보여줍니다.
마치며
투자에서 손실의 역할, 즉 부정적 강화와 처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손실의 심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완화하는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투자자는 좀 더 균형 잡히고 합리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불확실성과 변동 보상이
투자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어보기...
[투자심리] 5. 불확실성과 변동 보상의 역할
B.F. 스키너는 어떤 행동의 결과에 의해 자신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는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는 동물(예: 쥐와 비둘기)이 특정 행동(예: 레버누르기)을 통해
stock.slowly81.com
'투자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심리] 6. 행동 편향과 인지 부조화 (0) | 2024.07.25 |
---|---|
[투자심리] 5. 불확실성과 변동 보상의 역할 (0) | 2024.07.25 |
[투자심리] 3. 투자에서의 보상 : 긍정적 강화 (0) | 2024.07.24 |
[투자심리]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0) | 2024.07.22 |
[투자심리] 1. 스키너의 상자와 투자 심리 (0) | 2024.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