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심리

[투자심리]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by fun learner 2024. 7. 22.
반응형

 

B.F. 스키너는 어떤 행동의 결과에 의해 자신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는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는 동물(예: 쥐와 비둘기)이 특정 행동(예: 레버누르기)을 통해 보상(예: 음식)을 받거나 처벌(예: 약한 전기 충격)을 피하는 방법을 배우는 실험 장치였습니다. 이 이론은 강화(긍정적 및 부정적)와 처벌이 어떤 행동을 만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Created by lexica.art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

 

조작적 조건형성은 행동의 결과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심리학의 기본 개념입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강화가 있습니다.

 

1. 긍정적 강화

    행동이 보상 자극에 의해 뒤따를 때 발생하며,

    그 행동이 반복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투자에서 긍정적 강화는 성공적인 거래로 인한 이익이

    투자자에게 유사한 거래 전략을 계속하도록 장려할 때 발생합니다.

 

2. 부정적 강화

    행동이 불쾌한 자극의 제거에 의해 뒤따를 때 발생하며,

    역시 그 행동이 반복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하락하는 주식을 매도하여 추가 손실을 피하는 것은

    부정적 강화로 작용하여 부실 자산을 빠르게 매도하는 행동을 강화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조작적 조건형성 사례

 

조작적 조건 형성은 투자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상 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양육

    부모는 긍정적 강화(칭찬, 보상)를 통해 자녀의 좋은 행동을 장려하고,

    처벌(잔소리?, 쉬는 시간제한, 용돈 제한)을 통해 나쁜 행동을 억제합니다.

 

○ 직장

    고용주는 보너스와 승진(긍정적 강화)을 통해 직원의 동기를 부여하고,

    강등이나 질책(처벌)을 통해 성과가 저조한 경우를 다룹니다.

 

○ 교육

    교사는 성적과 칭찬(긍정적 강화)을 통해 학업 성취를 장려하고,

    낮은 성적이나 방과 후 남기기(처벌)를 통해 노력 부족을 다룹니다.

 

 

투자자에게 의미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면

투자자는 자신의 행동이 

결과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 긍정적 행동 강화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강화하고 수익성 있는 거래에서 교훈 배우기

 

○ 부정적 행동 완화

    재정적 손실을 초래하는 행동을 식별하고 피하며,

    이를 논리적으로 고민하여 규칙 있는 행동 방식 개발하기

 

○ 위험과 보상의 균형 유지

    긍정적 및 부정적 강화가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위험과 보상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유지하기

 

 

마치며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긍정적 및 부정적 강화, 처벌,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즉, 잘한 투자는 다시 반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망한 투자는 다시는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이 과정에서 너무 긍정적이거나, 너무 부정적으로 빠지지 않게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다음에는 긍정적 강화의 형태로서 보상이

투자자 결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어보기...

 

 

 

[투자심리] 3. 투자에서의 보상 : 긍정적 강화

B.F. 스키너는 어떤 행동의 결과에 의해 자신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는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는 동물(예: 쥐와 비둘기)이 특정 행동(예: 레버누르기)을 통해

stock.slowly81.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