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숫자보고 투자하자[거래정지] 거래정지란? 주식시장에서 특정 기업의 주식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해당 기업에 대해 시장의 거래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주요 정보가 공개되는 등의 이벤트로 인해 시장 조작이나 불공정한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최근 한 건설사가 거래정지 되면서 투자자들의 투자금이 묶여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거래 정지 사유 1) 거래소에서 조회공시 요구를 한 경우, 기업은 정해진 기간 내에 답변을 해야 합니다. 2) 기존에 공시한 정보를 수정하여 다시 공시한 경우 사안에 따라 거래 정지 됩니다. 3) 사업보고서 미제출, 감사인 의견 거절, 3년 이상 영업정지, 부도발생, 주식 분산 미달, 자본잠식 3년 이상 등의 사유로 상장 폐지가 결정되면 해당 종목은 거래 정.. 2024. 3. 15. 기관 투자자의 7가지 원칙[스튜어드십 코드] 스튜어드십 코드란?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가 타인의 자산을 관리, 운영하는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이행해야 하는 7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이 코드는 국내 상장사에 투자한 기관투자자가 주주활동을 통해 수탁자로서 책임을 성실히 이행하도록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명확한 정책 공개 고객, 수익자 등 타인 자산을 관리, 운영하는 수탁자로서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명확한 정책을 마련하고 공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어떤 항목에 어떤 비중으로 투자를 하는지 정보를 모두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해상충 문제 해결 수탁자로서 책임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실제 직면하거나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이해상충 문제를 효과적이고 명확한 정책으로 해결하고 내용을 .. 2024. 3. 14. 부동산 가치 평가 방법 3가지 부동산 이란? 한자어 풀이 그대로 움직일 수 없는 자산을 의미하며, 보통 아파트, 주택, 토지 등을 말합니다. 주식은 거래시장에서 주가로 가치가 정해지는데 부동산은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까요? 아파트는 주변 시세나 실거래가를 확인하면 되는데 주택, 토지 등 다른 부동산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집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매매 사례 비교법 대표적인 부동산인 아파트의 평가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시장에서 거래된 부동산의 매매 사례를 분석하여 대상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즉, 비슷한 지역에 있는 유사한 부동산 거래를 조사하고 해당 거래의 가격을 비교하여 평가합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KB 부동산 시세를 활용하면 비교적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성식 아파트가 아닌 주택의 경우에는 거래량도 작고, .. 2024. 3. 12.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순자산비율(PBR)이란? 이 지표는 주가와 순자산 가치를 비교합니다. 주식의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즉 회사를 현재 시점에 청산한다고 가정했을 때 주식 가치보다 순자산이 많다면, 해당 주식은 안전하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럼 사례를 통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사전 적인 설명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그런데 주당 순자산을 구하려면 순자산을 다시 총 주식수로 나눠야 해서,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눠도 동일합니다. PBR = (주가)/(주당 순자산) = (주가)/(순자산/총주식수량) = (주가)X(총주식수량)/(순자산) = (시가총액)/(순자산) 순자산이 높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PBR 이 낮겠네요. 주식이 상승세에 있는 종목은 시가총액이 높을 테니 P.. 2024. 3. 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