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정지란?
주식시장에서 특정 기업의 주식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해당 기업에 대해 시장의 거래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주요 정보가 공개되는 등의 이벤트로 인해 시장 조작이나 불공정한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최근 한 건설사가 거래정지 되면서 투자자들의 투자금이 묶여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거래 정지 사유
1) 거래소에서 조회공시 요구를 한 경우, 기업은 정해진 기간 내에 답변을 해야 합니다.
2) 기존에 공시한 정보를 수정하여 다시 공시한 경우 사안에 따라 거래 정지 됩니다.
3) 사업보고서 미제출, 감사인 의견 거절, 3년 이상 영업정지, 부도발생, 주식 분산 미달,
자본잠식 3년 이상 등의 사유로 상장 폐지가 결정되면 해당 종목은 거래 정지 됩니다.
4) 유가증권을 위조하거나 변조한 경우 해당 종목을 거래 정지됩니다.
5) 주식의 액면병합, 액면분할, 감자, 증자 시 주식의 정리를 위해 거래가 중단됩니다.
6) 그 외에도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거래정지가 가능합니다.
거래 정지 이후
최근 이슈가 된 건설사의 경우 거래 정지 사유는 자본 잠식입니다.
자본 잠식 상태가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는지는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최종 감사의견 결과에 따라 최종 확정됩니다.
상장폐지 사유 통보를 받게 되면 절차상 거래소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면 심의를 통해 최대 1년 동안의 개선기간이 부여됩니다.
이 기간에 개선계획을 이행하고, 개선기간 종료 후
거래소가 상장 공시 위원회 심의를 통해 개선계획 이행여부를 심사해
상장유지 혹은 폐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숫자로 확인 가능?
제가 못 찾은 것일 수도 있으나 포털 증권 사이트에서 '23년도 자료가 안 보이네요.
아마 거래정지 전에 잠정치가 있었더라도 개인이 재무상태표를 보고 자본잠식 상태인지 알기는 어려웠을 겁니다.
결국 아래 공시가 나오고, 기사가 뜨고 나서야 개인들은 이 사실을 알게 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마치며
주식을 투자할 때 보통 PER, PBR 등 주식가치평가 지표만 신경을 쓰게 되는데요.
회사의 재무상태가 어떤지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것도 주식 투자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무쪼록 경영 정상화가 조속히 이루어져 거래정지가 풀리고
투자자들이 맘고생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숫자 보고 투자 하자[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이란? 우리말로 기본적이라는 단어가 좀 애매한데 영어로는 Fundamental입니다. 즉 회사의 기초 체력의 상태가 어떤지 파악해 보는 분석입니다. 재무 상태와 내재 가치가 어떠한지 확인
stock.slowly81.com
주식 거래 정지? 조건, 기간
오늘은 거래정지 종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시장은 시장의 건전성 확보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황에 따라 개별 종목들에 규제를 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다양한 제도 중에 하나
investdobi.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보고 투자하자[매물대] (0) | 2024.03.21 |
---|---|
숫자보고 투자하자[페드워치] (0) | 2024.03.16 |
기관 투자자의 7가지 원칙[스튜어드십 코드] (0) | 2024.03.14 |
부동산 가치 평가 방법 3가지 (0) | 2024.03.12 |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순자산비율,PBR] (0) | 2024.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