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란?
도체와 부도체의 특성이 상황에 따라 나오는 물질을 의미한다는 건... 모두 알고 계실 테고요. '24년 현재 AI 시대를 열어가는 지금 반도체는 가장 핵심이 되는 산업입니다. 특히 AI용 GPU를 설계, 생산하는 기업들은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크게 두 축으로 나뉘는데요.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팹리스 (Fabless)
팹리스는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설계를 제외한 웨이퍼 생산, 패키징, 테스트 등은 모두 외주로 진행됩니다.
외주를 통해 생산이 완료된 칩의 소유권이나 영업권은 팹리스에 있어 자사 브랜드로 판매됩니다.
대규모 자본이 드는 공장을 갖추지 않고 설계에 주력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기술적인 다양성을 갖는 칩을 개발합니다.
주요 팹리스 기업에 알아 보겠습니다.
○ 엔비디아 (NVIDIA) : 그래픽 처리 유닛 (GPU)을 설계하는 세계적인 기업입니다.
GPU는 그래픽 처리뿐만 아니라 인공 지능 (AI), 과학 계산, 자율 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퀄컴 (Qualcomm) : 모바일 통신과 무선 기술을 중심으로 반도체 제품을 설계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칩셋을 개발하며, 5G 기술에도 주력합니다.
○ 미디어텍 (MediaTek) : 모바일 칩셋과 무선 통신 설루션을 설계하는 기업입니다.
주로 중저가 스마트폰과 기타 연결 기기에서 사용되는 칩셋을 개발합니다.
○ AMD (Advanced Micro Devices) : 컴퓨터 프로세서, 그래픽 카드, 서버 칩 등을 설계하는 기업입니다.
게임, 데이터 센터,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반도체 제품을 개발합니다.
○ 브로드컴 (Broadcom) : 네트워크 통신, 무선 기술, 데이터 저장 등을 위한 반도체 제품을 설계합니다.
라우터, 스위치, 무선 통신 장비 등에서 사용되는 칩을 개발합니다.
파운드리 (Foundry)
파운드리는 반도체 생산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설계를 제외한 웨이퍼 생산, 패키징, 테스트 등을 담당합니다.
자체 제품이 아닌 수탁생산을 주로 하며, 고객으로부터 위탁받은 제품을 대신 생산해 이익을 얻습니다.
생산 전문 파운드리의 주 고객은 팹리스와 시스템 반도체 회사입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TSMC와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마치며
크게 팹리스와 파운드리로 반도체 산업을 두 가지로 살펴보았습니다.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중심으로 성장하던 시대에는 생산이 중요하였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하이닉스 같이 반도체 치킨 게임의 승자들은 우월한 생산력으로 시장을 선도하였습니다.
하지만 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경우 설계 경쟁력이 있는 기업들이 늘 우위에 있었으며
최근 AI 시대가 열리면서 엔비디아, AMD 같은 기업들이 설계 경쟁력을 무기로
파운드리 회사의 생산력을 활용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산업의 성장이
또 하나의 IT 버블이 될지, 아니면 또 하나의 스마트폰 혁명이 될지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피셜 기대 수익과 수학적 기대 수익의 차이 (0) | 2024.02.29 |
---|---|
흐름을 탈것인가 믿음으로 기다릴것인가 (1) | 2024.02.27 |
벼락 거지에 대한 두려움 FOMO (0) | 2024.02.24 |
가이던스와 컨센서스의 차이 (0) | 2024.02.21 |
기업을 분할하는 2가지 방법 (0) | 2024.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