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 거지란?
2020년 부동산 폭등기에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 아파트 보유자가 집값 상승으로 자산가치가 폭등하여 벼락부자가 되는 반면, 부동산 자산이 없는 사람들은 가만히 앉아서 상대적으로 빈곤해진 상황을 말합니다. 이런 상태를 심리학적 용어로 FOMO라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FOMO (Fear of Missing Out)
본래 마케팅 용어 였으나, 사회병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 용어로도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놓치거나 제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
자신이 해보지 못한 가치 있는 경험을 다른 사람만 하고 있거나, 그렇게 보이는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징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싶어 하며,
다른 사람들 사이에 무슨 이야기들이 오고 가는지 궁금해합니다.
이런 사회적 불안 현상은 후회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즉, 자신의 선택으로 인한 후회를 상상하게 만들게 됩니다.
'이번에 집을 안 사서 영원히 못 사면 어떡하지.'
'00 주식이 아직 더 오를 것 같은데 지금이라도 사야 되나, 지금 안 서서 계속 오르면 어떡하지'
사례
2020년 부동산 폭등기에 아파트를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극심한 FOMO에 시달렸고
FOMO 에 굴복한 사람들은 고점에서 영끌로 아파트를 구매하게 됩니다.
2023년 2차 전지 관련 주 폭등기에도 마찬가지로, FOMO를 극복하지 못한 사람들은
2차 전지 관련 주를 고점 해서 구매하게 됩니다.
마치며
일반적으로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이 더 좋아 보이는 심리가 있습니다.
특히 주식 시장에서는 본인이 보유한 주식은 못나 보이고
현재 주도주는 영원할 것 같은 느낌에 괴로워합니다.
이때 FOMO에 굴복하면,
' 그래 지금 가진 주식은 향후 전망도 어둡고, 언제 회복될지 몰라
주도주는 향후 전망도 좋고 사람들도 좋아하니 갈아타야겠어 '
라는 자기 결정을 합리화하면서 고점을 잡게 됩니다.
모든 자산은 가치대비 가격이 저렴할 때 사서 가치대비 가격이 높을 때 파는 게 기본입니다.
이런 당연할 사실을 망각하게 만드는 FOMO.
내가 지금 내린 결정이 이런 심리에 빠져 내린 건 아닌지 늘 조심해야겠습니다.
참고자료...
fomo 마케팅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01] FOMO 마케팅 전략 리서치 후 정리하고, FOMO 마케팅 전략을 이용한 카피라이팅 사례 1개를 찾...
blog.naver.com
FOMO(Fear of Missing Out)의 이해 : 공포에 휩쓸리다
FOMO(Fear of Missing Out)는 최근에 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으로, 누군가가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이나 활동을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합니다. FOMO는 주로 소셜 미디어의
hwanticle.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흐름을 탈것인가 믿음으로 기다릴것인가 (1) | 2024.02.27 |
---|---|
반도체 산업의 2개 축(팹리스, 파운드리) (0) | 2024.02.26 |
가이던스와 컨센서스의 차이 (0) | 2024.02.21 |
기업을 분할하는 2가지 방법 (0) | 2024.02.20 |
치킨 게임의 사례 3가지 (0) | 2024.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