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각하고 투자하자[가계수지]

by fun learner 2024. 6. 2.
반응형

 

경제에서 수지라는 용어는 수입과 지출에 대한 비교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무역수지라 하면 수출, 수입을 비교하여 흑자인지, 적자인지 나타 냅니다. 개인 가계에서도 수입과 지출에 대해 비교하여 통계 자료를 발표하게 되고 이를 가계수지라고 합니다. 최근 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 실재 숫자로도 그런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에서는 가계동향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전국,1인이상) (kosis.kr)

 

출처 : KOSIS

 

 

그런데.. 숫자로만 되어있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잘 알 수가 없네요.

그래서 통계청에서는 해당 자료를 발표하고, 보도자료를 배포합니다.

 

출처 : KOSIS
출처 : KOSIS

목록 | 가계동향조사 | 물가 · 가계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kostat.go.kr)

 

목록 | 가계동향조사 | 물가 · 가계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통계청

kostat.go.kr

 

그러면 아래와 같이 요약된 장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깔끔하네요~

 

출처 : KOSIS

 

항목별로 살펴보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동 분기 대비 1.4% 정도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지출은 2.5% 정도 증가로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소득 중에 재산소득 항목이 무려 전분기 대비 50% 증가했는데요.

재산소득이란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 고금리 영향으로, 목돈을 작년에 예금하고 올 1/4 분기에 만기로

이자를 받은 분이 많지 않았을까 추정해 봅니다.

 

지출 부분에서는 식료품/비주류음료가 7.2%, 오락/문화 9.7%, 음식/숙박 5.8% 로

증가해서 먹고, 여가를 즐기는데 돈이 더 많이 들어가는 걸 알 수 있네요.

 

 

마치며

 

대한민국 가계수지 통계와 본인 가계의 수치를 비교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나 소득대비 지출이 많지는 않은지

남들을 크게 증가한 재산소득(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서 증가가 그에 미치지 못하는지도

살펴보고 이유는 뭘까 고민해 보는 시간이 필요할 듯하네요.

 


참고자료...

 

 

목록 | 가계동향조사 | 물가 · 가계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통계청

kostat.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