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하는 지표로 PER, PBR이 있습니다. PER은 주가가 한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PBR은 주가가 한 주당 순자산 가치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면 개별 주식이 아닌 지수에도 PER, PBR 이 계산될까요? 이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이 있으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에 가면 다양한 데이터들이 있고 지수에 대한 PER, PBR 도 제공 합니다.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사이트 접속하여 [통계] - [기본 통계]로 이동합니다.
왼쪽 트리 메뉴에서 [지수]-[주가지수]-[PER/PBR/배당수익률]
오른쪽 화면이 뜨면 [개별지수] 선택하시고
[지수명] 은 코스피 입력하신 후
조회기간은 [1년]으로 하여
[조회]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조회된 데이터는 아래 표시된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스프레드시트에서 그래프 그리기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스프레드시트(전 구글 docs 사용했습니다.)로 그려보겠습니다.
지수의 흐름과 지수 PBR의 흐름이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23년 6월 경의 PBR 1인 부분과 최근 2024년 5월의 PBR 1인 부근의 주가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PBR의 분자인 순자산가치가 증가하였으니 분모인 주가도 같이 증가를 했을 겁니다.
앞선 데이터는 1년치라 이 부분 차이가 크지 않은데요.
10년 전 2014년 데이터를 조회해서 PBR 이 약 1인 부분을 보면
지수가 약 1900 정도 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즉 10년간 PBR 1 인 주가지수는 약 42% 정도 상승했네요. (1900 -> 2700)
마치며
앞서 최근 1년 코스피 지수의 PBR을 그려보았는데요.
유심히 보시면 최고치가 약 1인걸 보실 수 있습니다.
올초에 밸류업을 분위기가 좀 있긴 했지만 1 넘기기가 쉽지 않네요.
참고로 미국 S&P 500 은 작년 말 기준 PBR 이 4.3이고,
일본 니케이는 현재 1.5 정도 되네요.
우리나라는 언제쯤 저평가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아.. 참고로 코스피 사상최대치를 기록하던 시점의 PBR도 1.3 정도입니다.
참고자료...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수익비율(PER)이란? 이 지표는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나타냅니다. 즉, 주가와 기업의 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하지만 숫자만 봐서는 그래서 뭐 어떤 의미가 있는
stock.slowly81.com
숫자보고 투자하자[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순자산비율(PBR)이란? 이 지표는 주가와 순자산 가치를 비교합니다. 주식의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즉 회사를 현재 시점에 청산한다고 가정했을 때 주식 가치보다
stock.slowly81.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하고 투자하자[매몰 비용, 콩코드 효과] (0) | 2024.06.04 |
---|---|
생각하고 투자하자[가계수지] (0) | 2024.06.02 |
뉴스보고 투자하자[하한가] (0) | 2024.05.20 |
뉴스보고 투자하자[인적 분할] (0) | 2024.05.18 |
생각하고 투자하자[적립식 투자 수익률] (0) | 2024.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