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각하고 투자하자[자산배분]

by fun learner 2024. 4. 27.
반응형

 

투자의 정석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가 자산배분입니다. 특히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잘 모르면 주식대 현금을 50대 50으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산배분이라도 해보라고 합니다. 그럼 효과가 있는지 한번 해보겠습니다.

 

분석 기법을 모르니 그냥 AI 한테 말로 물어 봅시다.

 

AI에게는 데이터를 주고 물어보는 게 보다 정확한 답변을 합니다.

 

그럼 KOSPI 연간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요.

 

이미 잘 정리해 놓은 분이 있어서 참고하겠습니다.

 

기간 중 가장 변화가 작은 2011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투자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2011년 시작일 대비 2019년 마지막일 지수는 약 6.16% 증가했습니다.

 

출처 : https://heecheoldo.tistory.com/197

 

그럼 프롬프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처럼 말로 설명했고 데이터를 붙여 주었습니다.

 

아... AI는 그냥 Bing Copilot를 사용했습니다. 어차피 ChatGPT-4 랑 동일하니.

 

출처 : Bing Copilot 에 직접 손으로 타이핑

 

아래와 같이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 줍니다.

출처 : Bing Copilot 이 작성해준 답변

 

계산까지 해주면 좋겠는데... 안 해주네요.

 

그래서 계산해 달라고 했더니. 직접 하라고 하면 된다고 친절(?!) 하게 답변해 줍니다.

 

출처 : 친절한(?!) Bing Copilot

 

할 수 없이 파이썬을 돌려 봅니다.

 

파이썬은 구글 Colab에서 돌리면 됩니다.

 

예전에는 파이썬 돌리려면 PC 프로그램들 설치해야 했는데...

 

요즘은 클라우드로 제공됩니다. 

 

그중 구글 Colab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구글 크롬에서 검색해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별다를 제약 없이 사용가능합니다.(구글만세~!)

 

출처 : 구글 Colab 에서 Bing Copilot 가 작정해 준 코드를 사람이 약간 손봐서 돌림

 

결과를 보면 [ 투자금 : 예수금 = 50 : 50 ]의 간단한 규칙을 매년 수행하면 6.12% 수익을 얻네요.

 

100% 투자하고 기다렸을 때 6.16% 인데 비슷한 결과 나오네요 

 

매년 투자된 건 전체 투자 금액의 50% 뿐이고,

 

나머지는 예수금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그렇게 나왔습니다.

 

 

 

마치며

 

가격이 변동성은 있지만 횡보하는 자산에

 

투자금 : 예수금 = 50 : 50  비율로 자산배분 해서 투자할 때

 

전체를 투자금에 몰빵 하는 거보다 수익이 높아지는 현상을 클로드 새넌이 발견했고

 

이를 '새넌의 도깨비'라고 합니다.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하지만

 

중간중간 하락, 횡보 등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이 없이 주식만 들고 있으면 

 

대응도 안되고, 멘털도 흔들릴 수 있습니다.

 

클로드 새넌이라는 똑똑하신 분이 발견한 현상을 믿고

 

일정 정도의 예수금 비율을 가지도 투자하는 게 

 

멘털을 붙잡고 장기 투자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과거 시장 수익률 계산하는 방법 (코스피, 나스닥 시장 수익률 산출하기)

과거 시장 수익률 산출하기 과거 시장 지수 데이터를 구했다는(준비했다는) 가정하에, 매년 각 시장 수익률을 산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장 지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heecheoldo.tistory.com

 

 

흐름을 탈것인가 믿음으로 기다릴것인가

가치투자란? 기업의 기본적인 가치를 분석하고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가능성을 분석하고 현재의 재무상태를 고려합니다. 그래서 주식 가격이

stock.slowly81.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