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금융 상품에 투자해 이자를 받는 방법은 크게 보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목돈을 일정기간 맡기고 이자를 받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정해진 간격으로 돈을 넣어서 만기가 되면 이자와 함께 찾는 방법입니다. 너무 쉬운 내용이라 사람들이 다 알 것 같지만 가끔 수익률을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돈 넣고 이자 받기
은행 예금이 목돈 넣고 이자 받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정해진 금액일 정해진 기간동안 예치하면 약정된 이자를 지급합니다.
아.. 물론 세금이 있지만 계산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겠습니다.
10,000 원을 10년간 3% 이자로 예금을 해 보겠습니다.
예치 원금 | 이율 | |
10000 | 3.00% | |
년 | 원금+이자 | 수익률 |
1 | 10300.0 | 3.00% |
2 | 10609.0 | 6.09% |
3 | 10927.3 | 9.27% |
4 | 11255.1 | 12.55% |
5 | 11592.7 | 15.93% |
6 | 11940.5 | 19.41% |
7 | 12298.7 | 22.99% |
8 | 12667.7 | 26.68% |
9 | 13047.7 | 30.48% |
10 | 13439.2 | 34.39% |
계산이 매우 단순하고 직관적이네요.
10년간의 복리로 약 34% 수익률이 만들어집니다.
요즘은 10년짜리 예금은 잘 없습니다.
그러면 3년 예금 들고 만기 된 날 원금+이자를 다시 3년에 넣으면서 10년 가져가면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자는 마치 공짜로 생긴 돈 같아서 맛있는 거 사 먹고 원금만 다시 넣곤 하죠.
그럼 단리 수익만 가능하고 복리의 마법은 사라지게 됩니다.
티끌을 모아보자
목돈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한 푼 두 푼 모아 나가야 합니다.
그럴 때는 예금이 아니고 적금을 들게 됩니다.
이번에는 예금이 아닌 적금을 들어봅니다.
기간은 동일하게 10년이고 이자율도 3%로 동일합니다.
적립되는 원금은 1,000원씩 10번, 총 10,000 원입니다.
적립금 | 이율 | |
1000 | 3.00% | |
년 | 원금+이자 | 수익률 |
1 | 1030.0 | 3.00% |
2 | 2060.9 | 3.05% |
3 | 3122.7 | 4.09% |
4 | 4216.4 | 5.41% |
5 | 5342.9 | 6.86% |
6 | 6503.2 | 8.39% |
7 | 7698.3 | 9.98% |
8 | 8929.2 | 11.62% |
9 | 10197.1 | 13.30% |
10 | 11503.0 | 15.03% |
예금 수익률 약 34%의 절반 미만 수익률입니다.
뭔가 조건이 동일한 것 같은데 손해 보는 느낌입니다.
하지만 이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1년 차에 예금의 원금은 10,000 원이고, 적금의 원금은 1,000 원입니다.
이 원금에 대해 이자가 붙으니 당연히 적금에 붙은 이자 금액이 적습니다.
2년 차에 예금의 원금은 그대로 10,000 원이고, 적금의 원금은 이제 2,000 원입니다.
이 원금 + 1년 차 이자에 대해 이자가 붙으니 당연히 적금에 붙은 이자 금액이 적습니다.
....
이런 식으로 10년이 지나면 너무도 당연하게 차이가 나겠죠.
마치며
앞서 살펴본 차이 때문에 적립식 상품에 대한 수익률을 평가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개인연금 같은 상품의 경우 긴 시간 적립식으로 투자되다 보니
현재 시점의 총 납입금액과 현재평가금액만 가지고 수익률을 계산하는 건
예금의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과 같게 되고
해당 상품의 수익률이 형편없어 보이는 상황이 됩니다.
연금을 10년 납입했을 때, 납입원금이 10,000원이고 현재평가금익이 11,500 원 정도라면
당연히 적립식이기 때문에 연간 약 3% 정도 수익률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겁니다.
앞에서 계산한걸 이미 봤기 때문에 너무 당연하죠.
하지만 현재 시점만 보고 (11,500-10,000)/10,000 = 0.15
즉 15% 의 10년 수익률이라고 보고
연간으로 환산해서 약 1.4% 수익이라고 착각하게 됩니다.
너무 당연한데 착각한 적이 있어 남겨봅니다.
참고자료...
생각하고 투자하자[자산배분]
투자의 정석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가 자산배분입니다. 특히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잘 모르면 주식대 현금을 50대 50으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산배분이라도 해보라고 합니다. 그
stock.slowly81.com
생각하고 투자하자[아직 12척의 배가 남아 있사옵니다]
외국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의 자금 규모에 비해 개인들은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물론 슈퍼개미도 일부 존재하지만 전체 개인 투자자에 비해 극소수입니다. 그러면 개인은 거대한 자
stock.slowly81.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보고 투자하자[하한가] (0) | 2024.05.20 |
---|---|
뉴스보고 투자하자[인적 분할] (0) | 2024.05.18 |
뉴스보고 투자하자[게임, 화장품] (0) | 2024.05.13 |
뉴스보고 투자하자[카시카리, 드러켄밀러] (0) | 2024.05.08 |
뉴스보고 투자하자[살아나는 금리인하 불씨] (0) | 2024.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