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이란?
주가와 거래량 등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식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증권시장에서 가격의 움직임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그 패턴을 찾아 매매하는 방식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대표적인 예는 차트 분석입니다. 차트의 움직임을 보고 주가를 예측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합니다. 그럼 기술적 분석에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캔들스틱 차트
캔들스틱은 '촛대' 모양과 유사한 차트를 말합니다.
각 "촛대"는 특정 기간(예: 하루 또는 한 시간)을 나타내며 몸체와 심지로 구성됩니다.
몸체는 시가와 종가를 반영하고, 심지는 해당 기간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아마도 아래와 같은 그림을 많이 보셨을 텐데요. (네... 삼성전자 월봉입니다.)
중간에 파란색, 빨간색으로 된 막대들이 캔들스틱 입니다.
중간에 '최고 96,800'라고 되어있는 거 보면 빨간색이고 위쪽으로 선이 나와 있습니다.
빨간색이니 해당 월 종가가 시가보다 높았다는 의미이고, 월중 최고 가격이 96,800 이 됩니다.
(10만 원 가즈아를 외치던 그때군요...)
색, 모양을 보고 다양한 해석을 해볼 수 있습니다.
지표 활용
위 그림에서 주가를 나타내는 선 이외에 4가지 색의 실선이 존재합니다.
이를 이동평균선이라고 합니다. 줄여서 이평선이라고 방송에서는 많이 언급합니다.
녹색은 5개월, 빨간색은 20개월, 주황색은 60개월, 보라색은 120 개월간 평균을 구해서 이를 선으로 표시한 겁니다.
기간이 짧은 건 단기 흐름, 긴 건 장기 흐름을 나타냅니다.
이동평균선의 모양, 선들 간의 배열 등으로 다양한 분석을 하게 됩니다.
이동평균선외에도 상대강도지수(RSI), 볼린저 밴드 등도 있다고 합니다.
지지와 저항
차트에서 주가가 특정 가격 수준에서 멈추거나 반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지지와 저항이라고 합니다.
기술적 분석은 이러한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여 주가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앞선 차트에서 지지선은 파란색으로, 저항선은 빨간색으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지금은 저항선을 뚫기 위해 계속 노크하는 모양새군요.
패턴 인식
주식 가격 움직임에서 관찰되는 반복적인 형태나 구조를 나타냅니다.
시장 동향을 찾고 움직임을 예측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패턴은 외화, 주식, 상품 등을 포함한 모든 시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유명한 패턴들 몇 가지 보겠습니다.
■ 삼각 수렴 패턴 : 상승 추세에서 발생하는 지속형 패턴입니다.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 주식의 일봉입니다.
■ 이중바닥 패턴 : 상승으로 반전할 때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최근 코스피 지수의 일봉입니다.
■ 헤드 앤 숄더 패턴 : 상승 추세에서 발생하는 반전 패턴입니다.
3개의 스윙 고점으로 구성되며, 중간 스윙 고점이 가장 높습니다.
목선을 하회하게 되면 매도 신호로 간주 됩니다.
역사적 고점이었던 2021년 코스피 지수 일봉입니다.
마치며
기술적 분석은 초보자에게 귀중한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계속 감으로 투자할 수는 없으니까요.
차트의 언어를 이해하고, 패턴을 인식하며,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조금 더 자신감 있게 투자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기본적 분석과 함께 시너지를 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상승 패턴인 주식을 발견해도, 회사에 어떤 변화가 있어서 그런 건지, 단지 일지적인 테마주인지는 구분해야 하니까요.
참고자료...
처음 배우는 주식차트 보는 법, 기술적 분석이란? 주식 공부하기
얼마전 나는 주식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그 이유는 내가 하고 싶은 것은 투자이지, 도박이 아니었...
blog.naver.com
뇌피셜 기대 수익과 수학적 기대 수익의 차이
기댓값이란? 확률 변수의 값과 그 값이 나올 확률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해당 확률 변수의 평균적인 결과를 나타냅니다. 즉 어떤 확률적 사건에 대한 평균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stock.slowly81.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렁에 빠진 내 주식을 구하자[라이언 일병 구하기] (0) | 2024.03.03 |
---|---|
숫자 보고 투자 하자[기본적 분석] (1) | 2024.03.02 |
뇌피셜 기대 수익과 수학적 기대 수익의 차이 (0) | 2024.02.29 |
흐름을 탈것인가 믿음으로 기다릴것인가 (1) | 2024.02.27 |
반도체 산업의 2개 축(팹리스, 파운드리) (0) | 2024.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