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1 뇌피셜 기대 수익과 수학적 기대 수익의 차이 기댓값이란? 확률 변수의 값과 그 값이 나올 확률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해당 확률 변수의 평균적인 결과를 나타냅니다. 즉 어떤 확률적 사건에 대한 평균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수학을 일지감치 포기한 분들은 바로 뒤로 가기를 누르셨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정의는 어렵지만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그럼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주사위의 기댓값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오는 값의 기댓값 얼마가 될까요? 기댓값이란 거 모르겠고 그냥 평균을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1 ~ 6까지 평균하면 3.5입니다. 그럼 기댓값의 정의에 맞춰서 하면 주사위 한 면이 나올 확률은 모두 1/6입니다. 그럽 각 면의 숫자와 나올 확률을 곱하면... 1 X (1/6) + 2 X (1/6) +... .. 2024. 2. 29. 흐름을 탈것인가 믿음으로 기다릴것인가 가치투자란? 기업의 기본적인 가치를 분석하고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가능성을 분석하고 현재의 재무상태를 고려합니다. 그래서 주식 가격이 가치보다 낮으면 주식을 매수하고, 원하는 가치 보다 가격이 높아지면 매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이와 달리 현재 시장의 흐름을 분석하고 주도주를 찾아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테마주 : 트렌드의 파도를 타고 태마주는 특정한 트렌드, 산업 분야 또는 스토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기술적 발전, 사회적 변화 또는 세계적 사건과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투자자들이 투자합니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심합니다. 해당 테마가 유행할 때 주식은 급등할 수 있지만, 테마가 소멸하면 가격이 급락할 .. 2024. 2. 27. 반도체 산업의 2개 축(팹리스, 파운드리) 반도체란? 도체와 부도체의 특성이 상황에 따라 나오는 물질을 의미한다는 건... 모두 알고 계실 테고요. '24년 현재 AI 시대를 열어가는 지금 반도체는 가장 핵심이 되는 산업입니다. 특히 AI용 GPU를 설계, 생산하는 기업들은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은 크게 두 축으로 나뉘는데요.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팹리스 (Fabless) 팹리스는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설계를 제외한 웨이퍼 생산, 패키징, 테스트 등은 모두 외주로 진행됩니다. 외주를 통해 생산이 완료된 칩의 소유권이나 영업권은 팹리스에 있어 자사 브랜드로 판매됩니다. 대규모 자본이 드는 공장을 갖추지 않고 설계에 주력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기술적인 다.. 2024. 2. 26. 벼락 거지에 대한 두려움 FOMO 벼락 거지란? 2020년 부동산 폭등기에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 아파트 보유자가 집값 상승으로 자산가치가 폭등하여 벼락부자가 되는 반면, 부동산 자산이 없는 사람들은 가만히 앉아서 상대적으로 빈곤해진 상황을 말합니다. 이런 상태를 심리학적 용어로 FOMO라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FOMO (Fear of Missing Out) 본래 마케팅 용어 였으나, 사회병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 용어로도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놓치거나 제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 자신이 해보지 못한 가치 있는 경험을 다른 사람만 하고 있거나, 그렇게 보이는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징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싶어 하며, 다른 사람들 사이에 무슨 이야기들이.. 2024. 2. 24.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